
아이의 언어 발달은 개인마다 차이가 있지만, 만 8세에 도달했을 때 다음과 같은 신호가 관찰된다면 언어 지연 가능성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. 부모님들이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자녀의 발달 상태를 점검하고, 필요시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.

언어 이해 능력에서의 지연 신호
- 지시 이해 부족: 아이가 또래에 비해 간단한 지시나 복잡한 지시를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.
- 이야기 요약의 어려움: 들은 이야기나 읽은 내용을 제대로 요약하거나 핵심을 설명하지 못할 때.
- 단어와 문장의 연결 문제: 문장 속 단어의 뜻을 잘 이해하지 못하거나, 문맥을 통해 유추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경우.
- 대화 참여 부족: 대화 중 상대방의 말의 의도를 잘 파악하지 못하거나 대화 흐름을 놓치는 경우.

표현 언어 능력에서의 지연 신호
- 어휘 부족: 일반적인 어휘 사용이 또래보다 적고, 기본 단어조차 잊어버리는 일이 잦은 경우.
- 문장 구성 어려움: 문법에 맞지 않는 문장을 자주 사용하거나, 문장이 지나치게 단순한 경우.
- 발음 문제: 특정 소리나 음절을 발음하지 못하거나, 또래에 비해 발음이 부정확한 경우.
- 느린 발화 속도: 대화 속에서 필요한 말을 적시에 표현하지 못하거나 지나치게 오랜 시간이 걸릴 때.

사회적 언어 사용에서의 지연 신호
- 사회적 단서 이해 부족: 대화 중 비언어적 신호(표정, 몸짓 등)를 이해하지 못하거나 이를 적절히 활용하지 못할 때.
- 상호 대화의 어려움: 대화의 주제를 유지하지 못하거나, 대화의 시작과 종료를 자연스럽게 하지 못할 경우.
- 친구와의 대화 문제: 또래와의 상호작용에서 오해가 잦거나,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갈등이 발생하는 경우.

학업에서 나타나는 언어 관련 신호
- 읽기와 쓰기의 어려움: 문장을 읽고 쓰는 능력이 또래보다 현저히 뒤처질 경우.
- 수학 문제 풀이 중 이해 문제: 문제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, 지시 사항을 오해하는 경우.
- 수업 참여 부족: 수업 중 질문을 하거나 대답하는 데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는 경우.

감정 및 행동으로 나타나는 언어 지연 신호
- 좌절감 표현: 의사소통 문제로 인해 감정적으로 불안정하거나 좌절감을 자주 표현할 때.
- 공격적 행동: 의사소통 문제로 인해 또래와의 갈등이 빈번하고, 공격적으로 행동하는 경우.
- 자기 표현 회피: 언어적 의사소통을 피하거나, 시도하지 않으려는 모습이 관찰될 때.

부모가 체크 후 해야 할 행동
- 전문가 상담: 언어치료사, 소아정신과 의사 등 전문가와 상담하여 정확한 평가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.
- 학교와 협력: 자녀의 담임 교사와 논의하여 학업 중 지원이 필요한 부분을 확인하고 도움을 요청하세요.
- 가정 내 언어 환경 개선: 대화 시간을 늘리고, 아이가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언어 활동을 함께 하세요.
- 적극적인 격려: 자녀의 작은 변화나 진전을 칭찬하며 긍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하세요.
언어 발달 문제 자세히 보기
언어 발달 관련 전문가 찾기

*** 불펌 무단복제 이미지 캡쳐를 금지합니다 ***